리튬이온전지개발자 및 리튬이온전기패키지설계기술자

   
▲ [사진 출처=클립아트코리아]
화학공학기술자 및 연구원
화학공정 및 장비를 연구, 설계, 개발하며 산업화학, 플라스틱, 제약, 자원, 펄프 및 식품가공 플랜트의 운영 및 유지 관리를 감독한다. 화학품질관리, 생화학 또는 생물공학 엔지니어링과 관련된 업무를 수행한다. 

화학공학기술자는 화학자의 연구에 의해 개발된 화학 물질을 경제성, 효율성 및 대량 생산성을 고려해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상용화하는 역할을 한다. 화학공학기술자들의 주요 직무는 첫째, 신제품 개발을 위한 연구 및 분석 업무, 제품생산을 위한 공정 및 장치의 개선업무 그리고 화학제품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각종 장치와 인력에 대한 감독 및 지휘 업무도 수행한다. 둘째, 화학공학기술자는 화력발전소, 석유화학공장과 같은 대형 플랜트인 공장 및 설비 건설에도 참여하는데 관련 공정 및 장치들의 설계 업무와 건설을 위한 각종 기술 지원 업무를 수행한다. 따라서 화학공학기술자는 실험실 및 연구실 그리고 공장 현장라인에서 근무하며, 종사하는 분야도 화학제품에 따라 고무제품, 농약 및 도료, 비누제품, 비료, 석유화학제품, 의약품, 플라스틱 제품, 화장품 등으로 다양하게 나누어진다.


| 농약활성연구원 |
활성미지물에 대한 농약의 이용가능성을 평가하고 농업생물의 생리·생태·생화학적인 특성을 규명해 환경조화형 신농약을 개발하며 그 생명현상에 대한 활용성을 연구한다.
농업유해 생물의 유해성과 방제의 경제적 가치를 조사해 그 종을 균일한 실험 재료로 확보해 유지·증식한다. 활성미지물의 유해생물에 대한 방제여부와 방제가능 약량을 조사한다. 유해생물에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에 대해 그 작용특성과 활성의 변동요인을 다각도로 검토해 생물적 효과의 장·단점을 평가한다. 약제의 처리적기, 처리방법, 토양중의 분해 대사, 제형 등을 실제 약제가 사용될 야외 포장조건에서 검토한다.

작용점에서의 감수성 및 약제의 흡수·이행·대사성을 조사해 표적생물과 비표적생물 간의 선택성을 규명하고, 저항성종의 출현에 대비한다. 표적생물에 대한 증상과 물질의 구조로부터 작용가능 기작을 선정하고 이와 관련된 생리화학적 실험을 통해 작용기작을 규명한다. 물질의 구조와 생리활성과의 관계를 작용수준점에서 평가해 적합한 화합물의 합성을 유도하고 생물의 생리화학적 정보로부터 새로운 작용점의 탐색과 그 검정기술을 확립한다. 합성물 및 자연계로부터의 새로운 모핵을 탐색함으로써 환경조화형 농약의 개발을 선도한다. 농업생물의 생명현상을 규명하고 기능의 활용성을 다각도로 연구한다.
 

정규교육 : 16년 초과(대학원 이상)
숙련기간 : 4년 초과 ~ 10년 이하
직무기능 : 자료(종합) / 사람(관련없음) / 사물(정밀작업)
작업강도 : 가벼운 작업
육체활동 : 시각
작업장소 : 실내·외
작업환경 : 대기환경미흡


| 도료연구원 |
가정용 및 산업용 도료의 기술을 연구하고 제품을 개발한다.
각종 도료 제품을 개발하고자 전색제(도료의 최종 목적인 도막의 주성분이 되는 것으로서 유지, 합성수지, 고무유도체, 수용성화합물 등이 사용됨), 도막형성 부요소(도료의 분산, 건조, 경화 등 여러 성질의 향상을 위해 소량 첨가되는 물질), 도막조요소(도료를 칠하기 쉽게 하고자 사용하는 용제로서 알코올류, 탄화수소류, 케톤류, 에테르류 등의 화학물질을 혼합해 사용됨)에 대해 연구한다.

착색안료, 체질안료, 방청안료, 발광안료, 시온안료 등 여러 가지 특수 안료 등을 용도에 따라 첨가하고 혼합비율에 대한 연구를 수행해 도료를 개발한다. 도료의 도장방법(도막형성 속도, 도료의 조도, 건조압법 등)기준을 제시한다. 각종 인증 및 표준 획득을 위한 시험성적서를 작성한다. 생산부서와 기술적 협의를 한다. 생산중인 도료의 견본을 채취해 도장성, 내구성, 표면유연성 등의 품질 시험을 한다. 원료, 제품 및 폐기물이나 배출물에 대한 기준을 확립한다.
 

정규교육 : 14년 초과 ~ 16년 이하(대졸 정도)
숙련기간 : 1년 초과 ~ 2년 이하
직무기능 : 자료(종합) / 사람(관련없음) / 사물(정밀작업)
작업강도 : 가벼운 작업
육체활동 : 손사용 시각
작업장소 : 실내
작업환경 : 대기환경미흡 위험내재


| 리튬이온전지개발자 |
리튬이온전지의 활물질(active material)의 적용 및 설계변경 등을 통해 충전능력과 안전성을 높인 고출력 고용량의 리튬이온전지를 연구·개발한다.
제품규격에 따른 최적의 구성과 용도에 따른 활물질(active material) 구성을 연구·개발한다. NCM(리튬·니켈·코발트·망간 산화물), LTO(Lithium Titanate Spinel), 포스페이트(phosphate) 등의 활물질을 제품의 용도에 따라 시제품을 만들어 제품 성능을 테스트하고 신제품을 개발한다. 배터리의 성능·안전성·신뢰성 평가업무를 수행하며 양산제품의 불량원인 등을 분석한다.

제품의 용도 및 종류에 따른 리튬이온전지의 에너지밀도와 수명, 안정성 등 효율을 높이기 위해 상용 활물질(active material)간의 비교 연구를 통해 필요한 가장 효율적인 활물질을 선정하며 제조공정상에 최적의 활물질 코팅량 등을 연구한다. 제조된 리튬이온전지의 안정성과 성능을 테스트하고 제품의 문제점과 성능향상을 위한 개선점을 연구한다.
 

정규교육 : 14년 초과 ~ 16년 이하(대졸 정도)
숙련기간 : 4년 초과 ~ 10년 이하
직무기능 : 자료(종합) / 사람(관련없음) / 사물(정밀작업)
작업강도 : 가벼운 작업
작업장소 : 실내


| 리튬이온전기패키지설계기술자 |
리튬이온전지의 셀을 적층한 모듈과 다수의 모듈을 결합한 패키지제품을 설계·개발한다.
설계할 제품의 크기·무게·성능 등의 요구특성을 파악한다. 요구특성에 적합하도록 셀을 적층해 케이스에 넣어 연결한 모듈과 패키징 제품을 디자인하고 전원관리시스템(BMS: Battery Management System)을 결합한 제품을 설계한다. 리튬이온전지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해 셀의 배열을 고려한 케이스와 발열구조물을 설계한다.
 

정규교육 : 14년 초과 ~ 16년 이하(대졸 정도)
숙련기간 : 4년 초과 ~ 10년 이하
직무기능 : 자료(종합) / 사람(관련없음) / 사물(정밀작업)
작업강도 : 가벼운 작업
작업장소 : 실내
관련직업 : 리튬이온전지모듈설계원


| 무기폭약감정관 |
사건에 연루된 무기나 폭약의 탄피, 파편 등을 수집, 분석해 무기나 폭약의 종류, 성분, 강도 등을 밝혀낸다. 
의뢰된 사건에 대한 사건 경위, 분석요구사항 등을 파악하고 사건의뢰자와 협의한다. 필요하면 현장에서 사건과 관련된 무기나 폭약의 파편, 탄환, 탄피 등을 수거한다. 비교현미경, 가스크로마토그라프, 전자현미경 등을 사용해 탄환 강선흔 및 탄피 격침흔을 비교·분석하거나 수집된 파편, 그을음 등의 종류, 성분, 강도, 발화점 등을 분석한다. 분석방법, 분석결과, 감정소견 등이 포함된 결과 보고서를 작성한다. 검사결과에 대한 의견 개진을 위해 법정에서 증언을 하며, 관련 대상자에게 강의를 하기도 한다.
 

정규교육 : 16년 초과(대학원 이상)
숙련기간 : 4년 초과 ~ 10년 이하
직무기능 : 자료(분석) / 사람(관련없음) / 사물(정밀작업)
작업강도 : 가벼운 작업
육체활덩 : 손사용 시각
작업장소 : 실내

*출처: 한국고용정보원 직종별 직업사전

 

 
*에듀진 기사 원문: http://www.eduj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9013

   
▲ 청소년 매거진 <톡톡> 정기구독 http://www.365com.co.kr
저작권자 © 에듀진 인터넷 교육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